가디언뉴스 김진택 기자 | 기상청은 2025년 여름철(6~8월) 기후 특성과 원인에 대한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올여름은 짧은 장마철과 이른 더위 시작, 무더위와 집중호우 반복이 주요 특징이었다.
여름철 전국 평균기온은 25.7 ℃로 가장 더웠던 지난해(25.6 ℃)보다 0.1 ℃ 높아 역대 최고 1위를 경신했고, 평년보다 2.0 ℃ 높았다. 6월 말부터 이른 더위가 나타나 8월 하순까지 지속됐다.
(6월 말∼7월 상순 이른 더위) 장마철 이후인 7월 말부터 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된 작년과 달리, 올해는 이례적으로 이보다 한 달가량 일찍 더위가 발생했다. 6월 29일부터 7월 10일까지 2주가량 전국 일평균기온은 1위(각 해당일 기준, 7월 4일은 2위)를 기록했고, 7월 8일에는 경기도 일부 지역에서 낮 최고기온이 40 ℃ 이상으로 오르는 등 한여름 날씨를 보였다.
(7월 하순, 8월 중하순 더위) 7월 하순과 8월 중하순에는 낮 동안 기온이 크게 올랐고, 밤에도 높은 기온이 이어지며 밤낮으로 무더위가 지속됐다. 특히, 8월 18일부터 25일까지 전국 일평균기온은 1∼2위(각 해당일 기준, 21일, 23∼25일은 1위, 18∼20일, 22일은 2위)를 기록하며, 더위가 그친다는 처서(8월 23일) 이후에도 늦더위가 이어졌다. 8월 하순의 전국 평균기온도 27.8 ℃로 평년보다 3.9 ℃ 높아 역대 최고 1위를 경신했고, 강릉, 대관령 등 13개 지점에서는 8월 하순 일최고기온 극값을 경신했다.
(더위 발생 원인) 6월 말 이른 더위가 나타난 것은 북태평양고기압의 확장과 대기 상층에서의 북반구 중위도 지역의 정체된 고기압 구조(CGT) 형성이 주요 원인이다. 7월 하순부터는 티베트고기압의 영향도 더해지면서 기온이 더욱 상승했다. 북태평양고기압이 평년보다 일찍 확장하고 여름철 동안 우리나라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준 데에는 열대 서태평양의 대류 활동 강화와 북태평양의 높은 해수면온도가 기여한 것으로 분석됐다.
(폭염) 여름철 전국 폭염일수는 28.1일로 평년보다 17.5일 많았다(3위), 남부지방과 동해안을 중심으로 20개 지점(구미, 전주, 강릉 등)에서 관측 이래 가장 많은 폭염일수를 기록했고, 대관령은 관측 이래(1971년~) 처음으로 폭염이 발생했다.
(열대야) 전국 열대야일수는 15.5일로 평년보다 9.0일 많았다(4위). 특히, 서울은 열대야일수가 평년(12.5일) 대비 3.5배가 넘는 46일로 관측 이래(1908년∼) 가장 많았다(2위: 2024년 39일). 부산, 인천, 강릉, 속초, 목포, 청주에서도 관측 이래 열대야일수가 가장 많았다. 일반적으로 열대야는 7월 중순부터 시작되는데, 올해는 더위가 일찍 시작하며 광주(6월 19일), 대전(6월 19일), 부산(7월 1일) 등 21개 지점에서 관측 이래 가장 이른 열대야가 기록됐다.
장마철 기간이 짧고 무더위가 지속되면서 여름철 전국 강수일수는 29.3일로 평년보다 9.2일 적었고(하위 5위), 강수량은 619.7 mm로 평년(727.3 mm) 대비 85.1%로 적었다. 강수가 국지적으로 단시간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7월 중순과 8월 전반에는 극값을 경신하는 등 기록적인 호우가 발생했다.
(7, 8월 기록적인 호우) 7월 16∼20일에는 중위도 파동 강화로 인한 상층 찬 공기를 동반한 기압골의 영향을 지속적으로 받아 전국적으로 200∼700 mm의 매우 많은 비가 내렸고, 서산, 산청 등에서는 1시간최다강수량이 100 mm를 넘었다. 또한, 8월 전반의 경우, 3∼4일에는 저기압의 영향으로 충청 이남 지역에, 9~14일에는 북태평양고기압 가장자리를 따라 유입된 고온 다습한 공기와 상층 기압골에 동반된 찬 공기 사이에서 형성된 정체전선의 영향으로 수도권, 강원영서, 남해안을 중심으로 많은 비가 내렸다. 특히, 서해상에서 강하게 발달한 구름대가 유입되며 3일에는 전남 무안과 함평, 13일에는 수도권북서부 지역을 중심으로 단시간에 매우 강한 비가 내려 1시간최다강수량이 100 mm를 넘었다.
(장마철) 북태평양고기압이 빠르게 확장하여 올해 장맛비는 평년보다 일찍 시작되고 일찍 종료됐다. 제주도는 6월 12일, 중부지방과 남부지방은 6월 19일에 장마철이 시작되어 평년보다 각각 7일, 6일, 4일 빨랐다. 제주도는 역대 가장 이른 6월 26일, 남부지방은 두 번째로 이른 7월 1일에 장마가 종료됐고, 장마철 기간이 각각 15일과 13일로 역대 두 번째로 짧았다(가장 짧은 해: 1973년, 중부·남부지방 6일, 제주도 7일). 중부지방은 7월 20일에 정체전선의 영향으로 경기북부와 강원북부를 중심으로 많은 비가 내리며 평년보다 6일 일찍 종료됐다. 작년에는 장마철 기간이 평년과 비슷했고, 여름철 강수량의 대부분이 장마철에 내린 반면에, 올해는 장마철 기간도 짧고 장마철 동안 정체전선이 남북으로 진동하며 장맛비가 내리기보다는 6월 20∼21일, 7월 중순 한두 차례 많은 비가 집중되며 장마철 전국 강수량은 200.5 mm로 평년(356.7 mm) 대비 55.0%로 적었고(하위 9위), 강수일수도 8.8일로 평년(17.3일) 대비 절반 수준으로 역대 네 번째로 적었다.
(강원영동 적은 강수량) 기상가뭄(4월 19일~)이 지속 중인 강원영동 지역은 강수량이 232.5 mm로 평년(679.3 mm)의 34.2% 수준, 강수일수도 24.7일로 평년보다 18.3일 적어, 여름철 강수량과 강수일수 모두 역대 가장 적었다. 다른 지역은 정체전선과 저기압 등의 영향으로 국지적으로 단시간에 많은 비가 내렸으나, 강원영동은 태백산맥으로 인한 지형효과로 강수량이 더욱 적었고, 여름철 동안 북태평양고기압의 영향으로 남서풍이 우세하여 동풍 계열의 바람이 불지 않아 강수량이 매우 적었다.
여름철 우리나라 주변 해역 해수면 온도는 23.8 ℃로 최근 10년 중 두 번째로 높았다(1위: 2024년, 24.0 ℃).
6월은 19.3 ℃로 최근 10년 평균보다 0.3 ℃ 낮았으나, 6월 말부터 북태평양고기압 확장에 따른 일사량 증가로 7월은 24.6 ℃, 8월은 27.5 ℃로 최근 10년 평균보다 각각 1.3 ℃, 1.1 ℃ 높았다.
이미선 기상청장은 “올여름은 더위가 일찍 시작하여 여전히 장기간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폭염과 호우가 반복적으로 나타나면서 복합적인 기상재해로 큰 피해와 어려움을 겪었다.”라며, “지역별로 폭염, 집중호우, 가뭄 등 여러 극한 현상이 동시다발적으로 나타나며 피해가 발생하고 있는 만큼, 기상청은 기후변화로 달라지는 기상재해의 양상을 면밀히 분석하고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하여, 국민 안전과 생명을 지키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