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1 (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맑음동해 31.3℃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울릉도 31.5℃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포항 31.4℃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맑음서귀포 30.8℃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보령 29.9℃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경제/비즈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VEU 폐지, 삼성·SK 중국 반도체 사업에 큰 타격 예고

검증된 최종 사용자 제도 폐지로 내년부터 미국산 장비 반입 시 건별 허가 의무화
중국 내 공장 생산 설비 교체·업그레이드에 복잡한 서류 절차와 허가 지연 가능성
미중 기술 경쟁 격화 속 한국 반도체 기업 경영 리스크 확대
산업부, 미국과 협의 중이지만 실질적 피해 불가피 전망

가디언뉴스 김재한 기자 | 트럼프 행정부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중국 내 반도체 공장에 대해 적용해온 '검증된 최종 사용자(VEU)' 제도가 내년부터 폐지됨에 따라, 두 기업이 겪을 중국 사업 환경 변화가 예고되고 있다. 기존에는 VEU 지위 덕분에 중국 공장에 미국산 반도체 제조 장비를 들여올 때 개별 허가 없이 가능했지만, 이제 미국 상무부가 이 예외 조치를 철회하며 모든 장비 반입에 대해 건별 허가가 의무화된다.

 

2022년부터 중국 내 첨단 반도체 장비 수출을 제한하면서, 삼성과 SK하이닉스는 특례적으로 VEU 지위를 인정받아 중국에서 필요한 장비를 원활히 들여올 수 있었다. 그러나 최근 미국 상무부가 발표한 이 조치는 2025년 9월 2일 공고 후 120일 유예 기간을 거쳐 시행되며, 포괄 허가 종료는 한국 기업의 중국 공장 업그레이드와 생산 설비 교체에 큰 장애물이 될 전망이다.

 

삼성전자 시안 공장은 낸드플래시 생산량의 약 40%를 책임지고, SK하이닉스는 우시·다롄 공장에서 D램과 낸드플래시의 상당 부분을 생산한다. 이들 공장은 첨단 공정보다는 중저가 차량용, 스마트폰용, 서버용 레거시 메모리와 로직 반도체 생산에 주력 중이다. 이번 미국의 개별 허가 강화 조치로 장비 도입이 지연되거나 거부되면 공장 가동 효율성과 글로벌 공급망 안정성에 적잖은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한국 산업통상자원부는 미국과 긴밀히 협의하며 한국 기업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 중이며, 글로벌 반도체 시장 안정 차원에서도 중국 공장 운영은 중요하다는 점을 미국 측에 지속 설득하고 있다. 그러나 미중 간 기술 경쟁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중국 내 반도체 사업을 어떻게 조율해 나갈지 향후 전략이 주목된다.

 

요약하면,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시작한 중국 내 반도체 장비 수출 규제가 강화돼,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내년부터 중국 공장 장비 반입 시 모두 개별 허가를 받아야 한다. 이는 두 기업의 중국 반도체 사업에 복잡한 허가 절차와 운영 부담을 가중시키며, 미중 기술 전쟁이 계속되는 가운데 한국 반도체 산업의 중대 도전이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