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이데일리
가디언뉴스 김재한 기자 | 조국혁신당 조국 대표가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더불어민주당과의 연대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야권 내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조 대표가 최근 “내가 오세훈 재선을 보고 싶겠냐”라고 언급하자, 정치권은 곧바로 ‘야권 단일화’ 가능성을 해석하며 술렁였다. 총선에서 일정 지지층을 확보했던 조국혁신당이 지방선거를 앞두고 정치적 생존을 위한 실리형 연합 전략을 본격화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조국혁신당의 연대론은 표면적으로는 ‘윤석열 정권 심판 완성’을 위한 대승적 구상으로 포장돼 있지만, 정치권 안팎에서는 신생정당의 위기감이 바탕에 깔려 있다는 분석이 우세하다. 총선 이후 지역조직과 자강동력이 부족한 현실 속에서, 민주당과의 협력 없이는 존재감 유지가 어렵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정치권 관계자는 “조국혁신당이 독자 노선을 유지하기에는 조직력과 인물풀이 모두 한계에 부딪혔다”고 평가했다.
문제는 정체성과 실리의 충돌이다. 조국혁신당은 총선 때 ‘민주당보다 더 선명한 개혁’을 내세웠지만, 지방선거에서 다시 손을 잡는다면 기존 지지층이 이탈할 가능성이 높다. 특히 광역단체장 선거는 행정 능력과 지역 비전이 핵심인 만큼 ‘오세훈 저지’ 같은 정치 구호만으로는 유권자의 선택을 받기 어렵다는 지적이 잇따른다. 한 정치평론가는 “정책 청사진 없이 중앙 정치 프레임만으로 선거를 치르려는 시도는 부메랑이 될 것”이라고 꼬집었다.
조국혁신당은 이에 대해 “야권 분열은 여당에게 이익일 뿐”이라는 논리로 맞서고 있다. 당 핵심 관계자는 “총선에서 국민이 보여준 심판 의지가 지방정치로 이어져야 한다”며 “민주당과의 연대는 정권 견제를 위한 대승적 조치”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민주당 내부에서는 “정권 심판에는 공감하지만 조국 리스크를 다시 떠안을 이유는 없다”는 신중론이 적지 않다.
민주당 내에서도 실익을 두고 계산이 복잡하다. 조국혁신당과의 공조를 통해 단일화 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동시에 중도층 반발과 여론 악화를 감수해야 한다는 것이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야권이 다시 조국을 둘러싼 프레임에 갇히면, 여당에는 오히려 반사이익이 돌아갈 것”이라는 분석도 제기된다.
조국혁신당은 주요 지역에서 공동공약 제시, 후보 단일화, 전략지원 등의 방안을 검토 중이다. 특히 서울·부산·광주 등 핵심 광역단체장 선거에서 민주당과 정책 연합을 추진한다는 구상이지만, 민주당의 지역 조직이 워낙 탄탄해 공천 조정 등 현실적 협의는 녹록치 않을 전망이다.
결국 조국혁신당의 이번 연대 시도는 명분보다 생존의 필요성이 더 크게 작용한 전략적 행보다. 정치권에서는 “정권 견제라는 명분이 실질적 정책 제안과 지방정치 비전으로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유권자의 신뢰를 얻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조국혁신당이 진정한 ‘연합 정치’를 구현하려면, 민주당과의 단순 협력을 넘어 지방 행정에 대한 구체적 비전을 보여야 할 시점이다.
